백엔드의 한 줄 코드가
서비스의 미래를 결정합니다.
더 나은 기술, 더 효율적인 시스템을 고민하며 빠르고 안정적인 서비스로 연결되는 길을 찾을 거에요. 저는 단순히 기능을 만드는 게 아니라, 비즈니스와 사용자의 경험을 설계하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가 될거에요. 코드 한 줄이 바꿀 수 있는 미래를 믿어요.
프로덕트팀 /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파트 / Jason
🚀
🗣️ Jason, 백엔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는 어떤 역할을 하나요?
백엔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는 서비스의 핵심 로직을 설계하고, 안정적으로 운영되도록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엔코위더스에서는 단순한 기능 개발을 넘어 비즈니스와 기술을 연결하며, 더 나은 시스템을 고민하는 것이 중요해요.
빠르게 성장하는 환경에서 효율적인 데이터 처리와 확장성을 고려한 아키텍쳐 설계를 통해 최적의 사용자 경험을 제공해요.
🗣️ 그럼 Jason이 엔코위더스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가장 중요한 건 소프트웨어 엔지니어가 주도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환경이에요.
우리 팀은 단순히 요구사항을 구현하는 것이 아니라, "이 기능이 정말 필요한가?" , "더 나은 해결책은 없을까?" 를 고민하며
최적의 방향을 찾아가요. 이 과정에서 신규 기술 도입, 코드 리팩토링, 성능 최적화 등의 개선 작업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집니다.
개발자의 의견이 존중되고, 직접 서비스의 변화를 만들어갈 수 있다는 점이 엔코위더스의 장점이에요.
🗣️ 엔코위더스에서 사용하는 기술 스택을 알려주세요.
✔️ Backend : Node.js, NestJS, REST API
✔️ Database : MySQL
✔️ Infrastructure : AWS, Vercel
✔️ Monitoring : Sentry, Firebase
✔️ Collaboration : GitHub, Figma, Retool, Slack, Notion
단순히 특정 기술을 고집하는 것이 아니라, 문제 해결에 적합한 최선의 기술을 선택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해요.
새로운 기술 도입이 필요하면 팀원들과 논의해서 결정하고, 실험해볼 수 있는 환경도 열려 있어요.
🗣️ 개발 프로세스는 어떻게 진행되나요?
저희 회사의 개발 프로세스는 기획, 디자인, 개발, 테스트, 배포의 단계로 이루어져요.
초기 아이데이션 단계에서는 앰플리튜드와 같은 데이터 트래킹 툴을 활용해서 의사결정에 반영해요.
PM이 기획의 초안을 마련하면 UX 디자이너가 설계를 진행해요.
이후, 사용성 리뷰라는 자체 프로세스를 통해 개발자가 기획의 세부 사항을 검증하고 보완하며 피드백을 주고받아요.
개발 단계에서는 각 개발자가 작업을 완료한 후 PR을 통해 코드 리뷰를 받고, QA 환경에 배포하여 품질 검증을 진행해요.
모든 환경에 대해 GitHub Actions를 통해 자동화된 배포를 수행하며 배포 시작과 완료 시점에는 Slack 알림을 통해 팀원들이 실시간으로 상황을 파악할 수 있어요.
배포된 이후에는 클라이언트에서는 Sentry를 통해 에러 로그를 수집하고, 백엔드는 CloudWatch와 Slack을 연동하여 실시간 모니터링을 진행해요.
이슈가 발생하면 신속하게 수정하여 배포할 수 있으며, 에러뿐만 아니라 세션 리플레이를 통해 유저의 행동도 모니터링 합니다.
이러한 프로세스를 통해 우리는 제품을 빠르게 출시하고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있어요.
🗣️ 합류하면 어떤 프로젝트를 맡게 되나요?
현재 팀에서 집중하고 있는 프로젝트는 다음과 같아요.
✔ PG사 변경 프로젝트
저희 팀은 현재 결제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PG사 전환을 진행하고 있어요.
이 프로젝트의 주요 목표는 결제와 환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수료를 줄이는 것이에요. 이를 통해 자동 정산 및 회계 처리를 간소화하고, 운영 리소스를 절감하며 사용자에게 더 높은 신뢰도를 제공하고자 해요. 현재는 새로운 결제 시스템에 맞춘 백엔드 설계와 개발이 진행 중이에요.
✔️ 코드 리팩토링 및 인프라 개선
현재 팀은 코드 리팩토링과 인프라 개선에 집중하고 있어요.
Express 기반 코드를 NestJS로 마이그레이션하며, AWS Elastic Beanstalk의 Node.js 18 지원 종료 전 완료가 목표에요.
또한, CloudFront 이미지 캐싱 및 배치 서버 분리 등을 통해 시스템 부하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유지보수성을 강화하려 해요.
이를 통해 성능과 확장성을 최적화하며, 사용자에게 더 빠르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에요.
이 외에도 게스트의 전환율을 높이기 위해 룸메이트 매칭, 기획전, 맞춤형 매물 추천 기능, 룸투어 영상 연동 등 다양한 실험을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어요.
입사 후에는 개인의 관심사와 강점을 고려해 핵심 프로젝트에 참여하면서 주도적으로 개발할 수 있어요.
🗣️ 마지막으로, 미래의 동료들에게 한마디 해주세요!
자율적으로 개발하고, 서비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험을 하고 싶다면?
엔코위더스로 오세요.
우리는 새로운 기술과 도전에 열려 있고, 빠르게 성장하면서도 개발자로서 깊이 있는 고민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더 나은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 함께 고민하고 성장할 개발자분들, 기다리고 있을게요.